화성특례시가 오는 15일 화성시 독립운동기념관에서 제106주년 제암리·고주리 학살 순국선열 추모제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기억을 넘어 평화로, 희생을 넘어 희망으로'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일제강점기 최악의 민간인 학살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된 비극을 기리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화성특례시는 매년 4월 15일 제암리와 고주리 일대에서 학살 희생자 29인을 추모하는 행사를 개최해왔다. 올해 추모제는 3부로 나뉘어 진행된다고 시 관계자가 밝혔다.
1부에서는 고주리 6인 순국묘역터(덕우공설묘지)와 제암리 23인 순국묘역을 차례로 참배하며 순국선열들의 넋을 기린다. 2부 본행사는 오후 3시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야외 잔디마당에서 거행된다.
본행사는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추모영상 상영, 유공자 표창,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의 추모사, 유가족 대표와 주요인사의 기념사가 이어진다. 또한 어린이합창단과 꿈나래어린이무용단의 추모 공연도 마련돼 행사의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은 1919년 4월 15일, 3·1운동 직후 일제가 자행한 대표적인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일본 헌병대는 3·1운동에 참여한 제암리 주민들을 강제로 모아 제암리교회에 가두고 불을 질렀으며, 탈출하려는 주민들에게 총격을 가했다. 같은 날 인근 고주리에서도 유사한 학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제암리 23명, 고주리 6명 등 총 29명의 주민이 희생됐으며, 30여 채의 민가가 불에 탔다. 일본 당국은 사건 직후 현장을 급히 수습하고 외부인의 접근을 통제했으며, 유족들에게 철저한 함구를 강요했다.
은폐될 뻔했던 이 사건은 캐나다 출신 프랭크 스코필드 선교사(한국명 석호필)의 노력으로 국제사회에 알려지게 됐다. 스코필드는 사건 발생 3일 후 현장을 직접 방문해 조사하고 사진을 남겼으며, 《제암리 학살 보고서》를 작성해 일본의 만행을 폭로했다.
"한 젊은 과부가 다가와 내 손을 잡고 자기 남편이 어떻게 살해당했는지 눈물을 흘리며 이야기했다"는 스코필드의 보고서 내용은 당시 현장의 참혹함을 생생히 전하고 있다.
해방 후 1959년 4월에는 대통령의 친필이 새겨진 '순국기념탑'이 세워졌고, 1970년에는 제암리 교회 터에 일본 개신교계에 의해 '사죄의 교회당'이 건립됐다. 1982년에는 순국선열 23인의 합동묘역이 조성됐다.
1990년대 중반 일제 잔재 청산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제암교회 복원사업이 추진됐고, 2001년 3월 1일에는 1만7천여㎡ 규모의 제암리 성역단지와 1,300여㎡ 규모의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이 완공됐다.
화성특례시는 2023년 4월 15일, 학살이 발생한 바로 그날을 기념해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을 공식 개관했다. 이 기념관은 기존의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을 재구성한 것으로,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을 비롯한 독립운동 관련 전시 콘텐츠를 통해 역사의식을 고취하고 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으로 희생당한 분들의 이름을 다시 부르고 진실을 바로 세우는 일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역사적 의무"라며 "화성특례시는 학살로 희생된 분들의 고통과 외침을 깊이 새기며,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이 미래 세대에게 올곧게 전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은성 기자 shinpress76@hanmail.net
화성특례시, '기억을 넘어 평화로, 희생을 넘어 희망으로' 주제로 15일 개최 | 뉴스패치
화성특례시가 오는 15일 화성시 독립운동기념관에서 제106주년 제암리·고주리 학살 순국선열 추모제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기억을 넘어 평화로, 희생을 넘어 희망으로'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newspatch.co.kr
'[뉴스]사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택항만공사, 해양 환경 정화 활동 성료 (0) | 2025.04.15 |
---|---|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월간 복지 사업'으로 행복한 직장 문화 조성 앞장 (0) | 2025.04.15 |
성남시, 가평서 열리는 장애인체육대회 304명 출전 “선전 기원” (0) | 2025.04.14 |
제17회 화성특례시장기 생활체육 축구대회 개최 (0) | 2025.04.13 |
여주도시공사,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제 45회 장애인의 날 맞이 특별교통수단 무료 운행 실시 (0) | 2025.04.11 |